주식 투자166 한국콜마, 연우 주가 전망 및 배당금 연우 실적 발표 연우는 화장품 용기 제조∙판매 업체로 주요 제품은 펌프형∙튜브형∙견본용 용기 등이 있습니다. 화장품 용기 시장은 전방산업인 화장품 산업과 밀접한 연관성을 갖고 있는데 2021년 상반기 기준 연우의 내수 매출 비중은 59%, 수출 매출 비중은 41%이었습니다.2021년 연우의 4분기 실적은 매출 707억원으로 전년도 대비 6% 상승, 영업이익은 72억원으로 전년도 대비 8% 상승 실적을 기록하였습니다. 연우 사업 부분의 실적은 내수 부분에서 부진하였는데 주요 화장품 고객사들의 면세 매출 부진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입니다. 주요 고객사들의 매출은 186억원으로 전년도 동기 분기 대비 25%감소하였습니다. 국내 대표 화장품 기업인 LG생활건강, 아모레퍼시픽 매출 비중이 상당 부분을 점유하였기.. 2022. 2. 23. 비씨엔씨 공모주 상장 후 주가 전망 비씨엔씨 공모주 청약 개요 청약일 : 2022년 2월 21일(월) ~ 22일(화) 환불일 : 2월 24일 상장일 : 2022년 3월 3일 목요일 공모가 : 13000원 주관사 : NH투자증권 공모규모 : 325억 기관경쟁률 : 1831.23:1 의무보유확약 비율 : 22.8% 유통가능비율 : 24.18% 이번에 상장하는 공모주 비씨엔씨에서 주력으로 매출을 올리고 있는 반도체 공정용 쿼츠 원재료를 자체 개발할 수 있는 기술력은 국내에는 거의 없는 상황입니다. 현재 국내 반도체 업계는 반도체 공정용 쿼츠 부품을 생산하기 위해 원재료를 미국, 일본, 독일 등의 해외 수입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비씨엔씨가 보유한 합성쿼츠 소재 국산화 기술력을 요약하면 품질은 기존 소재 대비 동등 이상입니다. 기존의 합성쿼츠 소재.. 2022. 2. 20. 아마존 주가 전망 및 주식 목표주가 아마존 주가 전망 견고한 긍정적 성장 아마존 닷컴의 21년 4분기 실적 발표 이후 미국 증권가에서는 향후 아마존 주가 전망을 긍정적으로 보았습니다. 아마존 닷컴(AMZN) 비용관리를 통해 사업 효율성 개선과 클라우드 사업 성장성 등을 바탕으로 높은 실적 성장을 발표했으며 프라임(Prime) 연회비 인상까지 발표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프리마켓에서 아마존 주가는 12.21% 급등까지 보였습니다. 레이먼드제임스 애널리스트는 클라우드 서비스인 AWS는 성장성이 급속도로 증가되고 있으며 광고 사업 또한 성장세가 계속 확인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하지만 온라인 커머스 사업은 성장세가 다소 정체되고 있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 전자상거래 사업은 성장세를 유지할 것이며 광고 사업과 같은 새로운 성장동력이 앞으로의 아마존 주.. 2022. 2. 18. 코카콜라 주가 전망, 배당금, 주식 목표주가 코카콜라 실적발표 실적발표 후 코카콜라(KO)의 2021년 4분기 영업실적은 매출 94.6억 달러로 컨센서스 89.6억 달러 대비 상회하는 실적을 기록하였으며 이러한 실적은 2020년 4분기 대비 10% 증가하였습니다. EPS 또한 0.45달러로 컨센서스 0.41달러 보다 상회를 하였습니다. 코카콜라 탄산음료 부문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8% 증가했으며 코카콜라 제로의 매출은 두 자릿수의 증가율을 기록했습니다. 또한 비탄산음료 부문이 영양, 주스, 우유, 및 식물 기반 부문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1% 상승하였습니다. 이러한 실적 부문에는 Simply(심플리)도 포함이 되어 있는데 매출 기준으로 심플리 실적은 코카콜라 그룹 내 브랜드 중 2위를 차지하였습니다. Simply 브랜드는 몰슨 코어스와 협업을.. 2022. 2. 17. 퓨런티어 공모주 상장 주식 청약 퓨런티어 공모주 상장 퓨런티어 기업을 한 줄로 소개를 하면 "자율주행의 눈을 만드는 기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글로벌 완성차에 공급이 될 자율주행 핵심 센서를 개발하는 글로벌 공정 장비 기업으로 앞으로 자율주행 테마와 연관이 될 자율주행 관련주입니다. 주관기관 유안타증권을 통해서 청약을 모집이 진행되는 퓨런티어 경우 기관 수요 예측 결과로 알 수 있듯이 상장 후 수익을 실현시킬 수 있는 기업이라고 생각이 됩니다. 퓨런티어 공모주 상장 일정 수요예측 : 22년 2월 7일 ~ 2월 8일 공모청약 : 22년 2월 14일 ~ 2월 15일 주식배정 및 환불일 : 22년 2월 17일 상장일 : 2022년 02월 23일 퓨런티어 수요예측 결과 코스닥에 상장 예정인 퓨런티어는 2월 7일과 8일에 진행된 기관의 수요.. 2022. 2. 13. 우버 주가 전망 및 UBER 주식 목표주가(모빌리티, 딜리버리 전망) 우버 주가 전망 최근 우버 주가는 오미크론 확산에 따른 정상화의 지연에 따라 좋지 않은 상황이었지만 현재 이러한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하며 현재의 안좋은 상황이 피크로 보며 이러한 우려들이 지나면 우버 주가에 대한 전망은 완화가 된 전망입니다. 최근 글로벌 각 지역내 코로나19 제한조치 완화로 2022년 2분기 실적이 반등을 기대하며 현재 우버는 2022년 PSR 3.0배 거래이며 향후 밸류에이션 상승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우버 실적 발표 우버의 4분기 총거래액은 259억 달러로 전년도 대비 51% 상승, 순매출액은 58억 달러로 전년도 대비 83% 상승 실적을 기록하였습니다. 조정 EBITDA 이익 0.86억 달러로 지난 분기에 이어 흑자 전환을 이어갔으며 순이익은 그랩과 오로라의 평가익 반영으로.. 2022. 2. 12. 물적분할 인적분할 이란? 상장 후 주식 가치 훼손 금지 방안 물적분할로 인한 주가 하락 최근 대통령 선거철 시즌에서 국내 증시 관심사에는 기업의 물적분할 상장 관련한 내용이 이슈가 되었습니다. 물적분할의 대표적인 사례로 2020년 9월 LG화학의 배터리 사업부문의 물적분할이 발표가 되어 LG화학 주가는 큰 폭으로 하락이 되었습니다. 같은 기간에 2차전지 ETF 지수가 59.5% 상승한 점을 고려하면 LG화학 주가는 배터리 사업의 물적분할과 함께 LG에너지솔루션 상장이 주가에 안 좋은 영향을 주게 되었습니다. 콘텐츠 사업 대장주인 CJ ENM 또한 2021년 11월 콘텐츠 제작부문의 물적분할 추진을 공시한 후 약 30%까지 주가가 하락을 했습니다. 물적분할 문제점 우리나라에서는 물적분할을 진행할 시 100% 자회사로 모회사에 속하는 기업을 만들기 때문에 연결 재무상.. 2022. 2. 9. 카카오게임즈 주가 전망 및 주식 목표주가 : 보라 코인을 통한 NFT 및 P2E 메타버스 생태계 카카오게임즈 주가 지난해 말 메타버스, NFT, 블록체인 등의 밸류에이션 반영으로 카카오게임즈 주식을 포함한 컴투스, 위메이드 등의 게임주들이 급등을 하였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급등 이후 게임주 주가들이 다시 제자리로 돌아가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카카오게임즈 주식의 PER, PBR 밴드 차트를 확인하면서 현재의 카카오게임즈 주가 상황을 파악해보시길 바랍니다. 카카오게임즈 NFT 및 P2E 성장성 기대감 카카오게임즈는 Beyond game(비욘드게임) 측면에서 플레이를 통해 오프라인과 온라인이 결합되는 스포츠와 메타버스, NFT 등의 사업 영역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현재 카카오 VX를 골프뿐 아니라 다양한 스포츠 영역으로 확대할 예정입니다. 메타버스 부문에서는 카카오게임즈 자회사인 넵튠이 보유한 유·무형 .. 2022. 2. 8. 아셈스 상장 후 주가 전망과 따상(친환경 소재 핫멜트 업체) 아셈스 공모주 상장 한국투자증권을 통해서 아셈스 공모주 청약결과 균등 1주, 비례 3주로 총 4주를 배정받았습니다. 아셈스 상장일은 2월 7일 월요일에 예정이 되어 있습니다. 청약일정이 같았던 나래나노텍은 2월 8일에 상장이네요. 아셈스 수요예측 결과 갱쟁률 1618.26대 1로 2021년 기준 19번째로 높은 경쟁률을 보였습니다. 의무보유확약은 7.71%로 2021년 기준 33번째로 낮은 의무보유 확약을 나타냈지만 실제 배정 확인이 된 부분은 40.64%가 배정이 되었네요. 이에 따라 유통 가능 비율이 34.52%로 낮아졌고 유통가능 금액은 약 304억원입니다. 지난해 상장이 되었는 오로스테크놀로지, 제네코, 브레인즈컴퍼니, 나노씨엠에스 등의 유통물량과 비슷한 수준으로 오로스테크놀로지와 브레인즈컴퍼니는.. 2022. 2. 6. LG전자 주가 전망, 우 배당금, 주식 목표주가(하락, 급등 이유) LG전자 실적발표와 주가 전망 2021년도 LG전자는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재확산과 함께 공급망 정체, 원자재 상승 등으로 불확실성이 지속이 되어 LG전자 주가 또한 이러한 영향으로 고점 대비 큰 폭으로 하락이 된 상황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LG전자 사업 전망은 올해 2022년에는 전자 제품 시장에서의 프리미엄 지위를 공고화를 통해 사업 경쟁력 기반을 강화하고 외부환경 및 원가구조 악화 리스크 대응을 위해 대비를 할 것입니다. 이에 따라 2022년에는 안정적인 매출 성장과 함께 수익 창출을 지속할 것으로 보았습니다. H&A 사업부 북미 시장 중심의 해외 시장의 성장세로 인해 동기 대비 18% 신장한 6.5조원 기록하였지만 마케팅, 물류비용 등의 비용 증가로 영업이익은 감소하였습니다. 전세계 가전 .. 2022. 2. 5. 이전 1 ··· 11 12 13 14 15 16 17 다음